요양병원.요양원 양식

요양병원 검체의뢰서 작성 시 유의사항과 필수 항목 완벽 정리

메뚜기24 2024. 11. 9. 18:09

검체의뢰서


날짜: 검체 의뢰서를 작성한 날짜로  환자의 상태나 검사 결과의 신속성을 평가할 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됩니다. 정확한 날짜 기록은 검사 진행과 보고 절차의 일정 준수 여부를 판단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등록번호: 환자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로 각 환자에 대해 유일하게 부여됩니다. 등록번호를 통해 환자의 기존 의료 기록과 연계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혼선을 방지하며 검사 이후 데이터를 전산에 입력할 때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자이름: 의뢰 대상자의 이름으로 환자 본인 확인 절차에서 매우 중요하며 의료진이 검체 채취 및 검사 절차를 진행할 때 등록번호와 함께 정확한 이름을 통해 환자 정보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성별/나이: 환자의 성별과 나이를 기재합니다. 성별과 나이에 따라 검사 해석에 필요한 참고 범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기재하여야 하며 성별에 따라 특정 검사의 결과 해석이 달라지며 연령대에 따라 정상 범위가 다른 경우도 많습니다.

  검사명: 의뢰된 검사의 종류를 명시합니다. 정규 검사인지 응급 검사인지에 따라 TAT(Turn Around Time 검사결과 보고 소요시간)이 달라지며 검사 과정의 우선순위도 조정됩니다. 검사명은 검사 결과 보고서와 연결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수탁센터: 검체 검사를 외부 수탁 기관에서 수행하는 경우 해당 기관의 명칭을 기재합니다. 수탁센터의 안정성은 결과의 신뢰도와 직결되므로 인증된 수탁 기관만을 사용하며 수탁 기관의 인증서와 외부 정도 관리 인증서를 확인하고 보관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검사종목: 해당 검체에서 분석되는 구체적인 검사 항목을 기록합니다. 혈액검사의 경우 일반혈액검사(CBC) 생화학검사 응고검사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항목들이 명확히 기재되어야 결과 해석 시 혼선이 없습니다. 각 검사종목마다 필요한 검체량 용기 종류도 확인해야 합니다.

회신: 검체 검사 완료 후 검사 결과를 회신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모든 검사 결과는 참고치를 포함하여 보고되며 상한치 또는 하한치를 벗어난 경우에는 별도의 표시(예: 빨간색 또는 파란색)로 명시합니다.  이상치(Critical Value Report)가 발생한 경우 주치의에게 즉시 보고하며 결과 변경 시에도 담당 병동에 알리는 절차를 준수합니다.

이 항목들은 요양병원의 검체 의뢰에서 필수적인 정보로 정확하게 기재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한 검사 결과 회신을 지원합니다.

 

검체의뢰서
검체 의뢰서.hwp
0.03MB